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0 06:03 (토)
대한뇌졸중학회 “뇌졸중 치료 환경, 지역별 불균형 심각”
상태바
대한뇌졸중학회 “뇌졸중 치료 환경, 지역별 불균형 심각”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2.07.01 15: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첫 내원 후 24시간 이내 전원율 최대 5배 차이
뇌졸중센터 직역 편중 극심...24시간 진료 불가능한 지역도
정부 지원 통해 지역 현실에 맞는 전달체계 구축해야

[의약뉴스] 뇌졸중센터 가운데 적지 않은 수가 제대로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지역별 불균형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어 중앙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은 물론 지자체 차원이 관심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 대한뇌졸중학회는 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뇌졸중치료 향상을 위한 병원 전단계 시스템과 뇌졸중 센터 현황 및 방향성’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 대한뇌졸중학회는 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뇌졸중치료 향상을 위한 병원 전단계 시스템과 뇌졸중 센터 현황 및 방향성’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대한뇌졸중학회(이사장 배희준)는 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뇌졸중치료 향상을 위한 병원 전단계 시스템과 뇌졸중 센터 현황 및 방향성’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학회측에 따르면, 뇌졸중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가운데 4위로 연간 10만명 이상이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인구 고령화에 따라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뇌가 죽어간다는 어원(腦卒中)처럼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뇌혈류 장애로 인해 뇌에 비가역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따라서 치료의 질 못지않게, 뇌졸중 발생 이후 치료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환자의 예후나 생존 가능성에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학회에서는 뇌졸중 집중치료센터 인증사업을 시작으로 최근에는 뇌졸중센터 인증사업에 이르기까지 뇌졸중 치료성적 향상과 표준화를 위해 노력해왔다.

정부 역시 뇌졸중 환자 발생시 구급대원이 환자를 가까운 응급의료센터로 이송하고, 이송 예상 병원에 사전 고지토록 하는 등 관련 법을 정비, 병원 전 단계를 강화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병원 전 단계에서 뇌졸중 전문의에게 정확한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가 많지 않고, 응급의료센터 역시 뇌졸중 환자에 대한 24시간 상시 응급처치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도 적지 않다는 것이 학회측의 시적이다.

실제로 160여개에 이르는 응급의료센터 중 약 재관류치료(급성뇌경색 환자에게 혈전용해제를 사용해 혈전을 녹이거나, 기구를 뇌혈관에 삽입해 혈전을 제거하는 시술)를 24시간 상시 제공할 수 있는 기관은 약 70% 정도로, 4분의 1~ 3분의 1 정도는 내원 시간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

이와 관련 대한뇌졸중학회 이경복 정책이사는 “재관류치료가 가능한 뇌졸중센터로의 일차 이송비율이 증가할수록 환자 사망률이 감소항다”면서 “병원 전 단계에서 뇌졸중환자를 적절한 치료 기관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학회에서 뇌졸중센터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인증사업을 추진한 결과 현재 재관류치료(급성뇌경색 환자에게 혈전용해제를 사용해 혈전을 녹이거나, 기구를 뇌혈관에 삽입해 혈전을 제거하는 시술)까지 가능한 뇌졸중센터 54개소와 일반 뇌졸중센터 13개소 등 총 67개소가 뇌졸중센터로 인증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뇌졸중센터의 상당수는 수도권을 비롯한 대도시에 집중되는 등 복합쇼핑모과 유사한 분포를 보이고 있어 지역별 편차가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학회측에 따르면, 2016-2018년도에 발생한 허혈성 뇌졸중환자의 약 20%는 첫 번 째 방문한 병원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24시간 이내에 다른 병원으로 전원돼 치료를 받았다.

뿐만 아니라 전원환자의 비율은 지역별로 상당한 편차를 보였다. 가장 낮은 제주도가 9.6%, 가장 높은 전라남도는 44.6%로 거의 5배에 이르는 차이를 보인 것.

이처럼 지역별로 전원율에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는 이유는 전문인력 부족과 뇌졸중센터의 지역 불균형에서 기인한다는 것이 학회측의 지적이다.

전문 진료임에도 붉하고 뇌졸중집중치료실 관련 수가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관련 수가에도 미치지 못하다 보니 전문의 확보는 물론 지방 병원에 뇌졸중센터 운영을 유인하기 어렵다는 것.

이에 뇌졸중 전문 인력 확보와 뇌졸중센터 유인을 위한 수가 개선과 정부 차원의 예산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학회는, 뇌졸중 센터를 지역의 현실에 맞게 운영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지자체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예를 들어 우수한 시설과 전문인력까지 갖춘 병원들이 많고 접근성도 좋은 수도권에서는 유명 병원을 찾기보다 되도록 빨리 가까운 뇌졸중센터를 찾는 것이 유리한 반면, 상대적으로 의료시설이 낙후되어 있고 전문인력도 부족한 지방에서는 우수한 의료기관을 찾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대형 병원이 적더라도 응급이송 체계가 잘 갖추어져 있어 골든타임 내 환자 이송률이 높지만, 이로 인해 환자 쏠림 현상이 심각해지면서 의료진이 번아웃을 호소하며 이탈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현재의 시스템을 잘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런가 하면, 특정 지역에서는 주간에 잘 운영되는 뇌졸중 센터가 야간 운영이 어려운 경우, 인근 지자체와 협조를 통해 이를 해결할 수도 있다는 것이 학회측의 설명이다.

대한뇌졸중학회 차재관 질향상위원장은 “지역마다 상황이 다르고 시스템이 달라서 획일화, 표준화된 모델을 만들기는 어렵다”면서 “지역에 맞춰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문제는 지자체에서 관심이 없다는 것”이라며 “지자체에서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1차 이송에서 환자를 놓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고 역설했다.

또한 대한뇌졸중학회 배희준 이사장은 “무엇보다 현장에서 환자의 중증도를 파악하고 어느 병원으로 이송할지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첫 번째 병원을 잘못 찾아가면 그 다음부터 모든 것이 달라진다”고 지적했다.

이에 “처음부터 신경과 의사가 결정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뇌졸중센터 설치와 권역센터 확대, 중앙센터 설치가 필요하다는 것이 학회측의 설명이다.

한편, 대한뇌졸중학회는 병원 전 단계에서부터 뇌졸중센터의 불균형에 이르기까지 문제점을 공유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2일 대한응급의학회와 함께 공청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